휴대용 고급 디지털 온도조절 인두기 만들기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준비물
- 디지털 인두기 세트(회로, 인두기핸들, 인두팁, 잭)
- 알류미늄케이스
- 실리콘케이블 1.1m
- 4s2p배터리
- 4s bms
- 4s 리튬이온 충전기
<조립과정>
자자, 조립을 시작해봅시다!
먼저 인두기 핸들을 조립합니다.
자자, 조립을 시작해봅시다!
먼저 인두기 핸들을 조립합니다.
저 두개의 부품을 끼워줍니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케이블과 노란 연결부속을 넣고. 케이블의 피복을 벗겨줍니다.
초록색 케이블은 진동센서길이만큼 좀더 잘라서 벗기시면 땜할때 좋습니다.
초록색 케이블은 진동센서길이만큼 좀더 잘라서 벗기시면 땜할때 좋습니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저 부품에 적혀있는ABCD를 참고하여,
위쪽은 기울기센서를 납땜한 초록 선 (기울기센서의 양 다리의 색이 다릅니다. 구리색이 도는 쪽이 열에 약하다 하니 케이블쪽에 납땜합니다) 검정색 -선을 같이 땜해줍니다.
아래쪽은
빨간색 +선을 땜해줍니다.
만약 중간단자에 -가 같이 연결되면 조립후 오류가 뜹니다(경험담..크흑)
모든것이 완료되었으면 노란 연결부속에 손잡이를 돌려 끼웁니다...?
저처럼 노란연결부속 빠진상태로 땜질하셨다 다시하지마시고.....
그리고 케이블타이도 노란부속과 케이블에 고정시켜줍니다.
위쪽은 기울기센서를 납땜한 초록 선 (기울기센서의 양 다리의 색이 다릅니다. 구리색이 도는 쪽이 열에 약하다 하니 케이블쪽에 납땜합니다) 검정색 -선을 같이 땜해줍니다.
아래쪽은
빨간색 +선을 땜해줍니다.
만약 중간단자에 -가 같이 연결되면 조립후 오류가 뜹니다(경험담..크흑)
모든것이 완료되었으면 노란 연결부속에 손잡이를 돌려 끼웁니다...?
그리고 케이블타이도 노란부속과 케이블에 고정시켜줍니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이런 모양이 나오면 다음단계로 진행합니다.
이제 반대쪽을 작업해봅시다.
이제 반대쪽을 작업해봅시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인두기핸들 반대쪽 면입니다. 동봉된 5핀 항공잭을 분해해서 저 상태로 만들어줍니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잘 보일지 모르겠지만, 위의 분해한 단자에는 고맙게도 핀 번호가 새겨져 있습니다.
이 번호를보고
2번 +선
3번 센서선
4번 -선
땜해줍니다.
이 번호를보고
2번 +선
3번 센서선
4번 -선
땜해줍니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요로코롬 땜하면 되는데요....
...분명 아까 일어났던 일 같은데
전선을 고정하는 부속을 빼놓은 상태에서 납땜을 해버렸네요
다시 땜을 합니다..ㅠㅠ
전선을 고정하는 부속을 빼놓은 상태에서 납땜을 해버렸네요
다시 땜을 합니다..ㅠㅠ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이렇게 고정해줍니다^^
이제 본체부분을 조립해봅시다.
이제 본체부분을 조립해봅시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케이스 뒷편에 4s2p 충전할 5.5mm 2.1mm 잭을 꽂아넣을 구멍을 가공해 봅시다.
집에 드릴이 없어서 칼과 가위로 1시간가량 작업한 모습입니다...
집에 드릴이 없어서 칼과 가위로 1시간가량 작업한 모습입니다..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아직 크기가 부족해보이니...!
폭풍 노가다 해줍니다
폭풍 노가다 해줍니다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끼워지게 되면 남는 노동의 흔적...
이제 앞판을 조립합니다
이제 앞판을 조립합니다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앞판은 딱히 설명없이도 할 수 있습니다.
항공단자는 알류미늄판에 먼저 조립을합니다.
기판에 led를 위치에 맞게 꽂아줍니다(긴다리 +).
기판을 아까 꽂은 항공단자와 맞춰주고
엔코더스위치를 볼트로 고정시켜줍니다(항공단자는 기판에 그려진 모양에 맞게 꽂아줍니다(보면 알아요)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빨리빨리 넘어가고 배터리작업합시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배터리는lg 신품 4s2p 입니다. 지그재그로 배치해야 케이스에 꽉끼게 들어갑니다.
전 bms를 저기다 배치할거에요-☆
1셀 pcm만 쓰다 bms는 처음이라 고장내지 않으려 신중히 작업하느라 꽤나 많은 시간을 소비했습니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작업은 성공적으로 된 것 같긴한데 말이죠..
납을 1m가량 사용한거 같네요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배터리와 뒷판 사이에 모든 배선을 마쳤습니다. 간단하니까 직접 하실 수 있어요.
그런데 모든 배선작업을 끝내고도 전원이 켜지지 않네요..
원인은 bms가 잠겨있던거라 한번 충전기를 연결해줘야만 잠금이 풀립니다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이렇게 전원이 켜지면 정상인데 숫자500이 뜨면 핸들이 연결되지 않았던지 뭔가 오류가 생긴겁니다. 주로 인두기 핸들에 잘못된 곳이 있더군요.
핸들을 다시 분해해보니 아까 언급했던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중앙부분이 -핀과 약간 접촉되어 있더군요.
그래도 다시 조립하면 괜찮다가 500이 뜨는거 보니 다른 부분에 문제가 있나보군요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그래도 잠깐 작동하다 500뜨더군요..!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그래서 다시 분해했다 조립하는과정에 엄청난 바보짓을 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!
인두팁을 끝까지 밀어넣지 않았던것!
*인두팁은 위 사진만큼 들어갑니다
인두기가 정상적으로 첫 작동을 시작하면 숫자가 막 오락가락하는데, 취한게 아니라 팁 안정화작업이 진행되는겁니다. 시간이지나면 정상작동하니 걱정마세요.
인두팁을 끝까지 밀어넣지 않았던것!
*인두팁은 위 사진만큼 들어갑니다
인두기가 정상적으로 첫 작동을 시작하면 숫자가 막 오락가락하는데, 취한게 아니라 팁 안정화작업이 진행되는겁니다. 시간이지나면 정상작동하니 걱정마세요.
![](https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0 개의 댓글:
댓글 쓰기